반응형
요즘 청년들이 가장 많이 찾는 자산형성 금융상품 두 가지!
바로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입니다. 이름은 비슷하지만, 대상, 조건, 혜택에서 분명한 차이가 존재합니다. 저도 저희 아이에게도 해당되는 것 같아서 찾아보니 지원 내용도 복잡하고 지원기관도 다르더라구요.
그래서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정확히 두 개의 지원제도를 비교해 드릴 테니, 내 상황에 맞는 상품을 찾아보세요!
1. 제도의 목적부터 다르다
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
제도 목적 | 저소득 청년의 자산 형성 지원 | 청년의 중장기 목돈 마련 지원 |
지원 성격 | 사회적 지원 (저소득층 목돈 마련) | 금융상품형 (장기 저축+정부 기여금+비과세) |
만기 기간 | 3년 | 5년 |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주로 저소득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자산형성 지원 상품이라면, 청년도약계좌는 중산층까지 포괄하는 장기 저축형 금융상품입니다.
2. 가입 대상 차이 (2025년 기준)
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
나이 | 만 19세 ~ 34세 | 만 19세 ~ 34세 (병역 복무 최대 6년 차감 가능) |
소득 요건 |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+ 근로·사업소득 월 50만원 이상 | 총급여 7,500만원 이하 / 종합소득 6,3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250% 이하 최근 3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|
기타 요건 | 근로·사업소득 필수 | 소득 요건만 충족하면 가능 (근로소득 필수 아님) |
- 청년내일저축계좌 : 저소득 + 근로소득 필수
- 청년도약계좌 : 소득이 있는 청년층 전반 (중산층까지), 직장인·자영업자 모두 가능
-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취급기관 앱을 통해 매월 비대면 신청 (25년 4월은 11일까지입니다)
(국민, 신한, 하나, 우리, 농협, 기업, 부산, 대구, 광주, 전북, 경남) - 가입신청 → 가입요건 확인 → 가입 가능여부 안내 → 계좌개설(가입신청 마지막일로부터 2주 소요)
3. 지원 혜택 & 금리
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
납입 방식 | 매월 10만원 고정 | 매월 최대 70만원 자유적립 |
정부 지원금 | 월 최대 30만원 (3년간) | 월 최대 2.1만원~3.3만원 (5년간, 소득구간별 차등) |
이자 혜택 | 은행이자 + 정부 지원금 | 은행이자 + 비과세 + 정부 지원금 |
우대 혜택 | 기초수급자/차상위계층 추가 지원 | 저소득층 청년 우대금리 |
만기 시 예상 수령액 | 약 1,440만원 내외 (3년 기준) | 최대 약 5천만원 이상 (5년 기준) |
금리 | 은행별 상이 | 은행별 상이 (비과세 적용) |
-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기 목돈 + 고정 저축
- 청년도약계좌는 장기 자유 저축 + 세제 혜택 -> 기본 6% 이자 + 은행별 추가 이자(체크카드, 월급통장)
- 청년도약계좌의 경우, 연 최대 9.54%의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와 같음
4. 중도 해지 시 불이익
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
중도 해지 시 | 정부지원금 전액 반환, 본인 납입액만 수령 | 정부지원금 미지급 또는 반환 이자소득 일부 보장 (비과세 혜택 일부 유지) |
- 둘 다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돌려줘야 하지만, 청년도약계좌는 일정 이자소득을 보장하는 점이 다름!
- 청년도약계좌 경우, 만기 5년 도래 전이라도 3년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유지 + 기여금 지급(60%) ->연 최대 7.64%의 일반적금가입상품 효과
5. 어떤 청년에게 유리할까?
상황 추천 상품
저소득 청년, 단기 목돈 마련 원할 때 | 청년내일저축계좌 |
일정한 소득이 있고, 장기 목돈 마련할 때 | 청년도약계좌 |
비과세 혜택까지 노리고 싶다면 | 청년도약계좌 |
사회적 배려 대상 청년 (기초수급, 차상위) | 청년내일저축계좌 (추가 지원) |
결론
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모두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소중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
하지만 나이와 소득 조건, 목적과 만기 기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가입 전 내 상황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※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, 반드시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.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리악병 환자의 사회생활 생존 전략: 글루텐 프리의 삶 (10) | 2025.04.09 |
---|---|
국세청 종합소득세 환급 원클릭 서비스, 사용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유의사항 (0) | 2025.04.05 |
대형산불의 원인 소나무, 어떤 나무가 산불에 강한가? (0) | 2025.03.29 |
2025 서울 여의도 벚꽃 축제와 함께 즐기는 행사, 영등포 여의도 봄꽃 축제, 서울메리어트호텔 축제, 서울마리나 축제 (0) | 2025.03.23 |
자동차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방법 (2) | 2025.03.07 |